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는 1910년 중화민국 시대에 시작되어,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59년부터 현재까지 4년마다 개최되는 중국 최대 규모의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이 대회는 올림픽 선수 선발 및 훈련의 중요한 기회가 되었으며, 1984년 하계 올림픽 참가 이후 올림픽 종목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종목이 설정되었다. 전국운동회는 중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지만, 과도한 경쟁과 지역 간 과열 경쟁, 승리 지상주의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U-20 아시안컵
AFC U-20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들의 국제 대회이며, 1959년에 시작되어 명칭 변경을 거쳐 2023년부터 AFC U-20 아시안컵으로 개최되고, FIFA U-20 월드컵의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며 대한민국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5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데이토나 500
매년 플로리다주 데이토나 비치에서 열리는 데이토나 500은 NASCAR 컵 시리즈의 개막전이자 가장 권위 있는 레이스 중 하나로, 약 800km를 주행하는 스톡 카 레이싱 경주이며, 리처드 페티가 최다 우승 기록을, 윌리엄 바이런이 가장 최근 우승자이다. - 중국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은 2007년 중국 창춘에서 개최되었으며, 10개 종목에서 25개국이 참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중국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90년 아시안 게임
1990년 베이징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은 36개국이 참가하여 27개의 정식 종목과 2개의 시범 종목이 진행되었고, 중국을 상징하는 판다 '판판'을 마스코트로 사용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걸프 전쟁으로 이라크가 불참, 중화 타이베이, 마카오, 팔레스타인이 처음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운동회 | |
---|---|
대회 정보 | |
이름 | 중화인민공화국 전국 운동회 |
원어 이름 | 중화인민공화국 전국 운동회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Quánguó Yùndònghuì) |
약칭 | 전국 운동회 |
영어 이름 | National Game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중국어 간체 | 中华人民共和国全国运动会 |
중국어 번체 | 中華人民共和國全國運動會 |
병음 |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Quánguó Yùndònghuì |
웨이드-자일스 | Chunghua Jenmin Kunghekuo Ch'üankuo Yüntunghui |
종목 |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목적 | 중국의 엘리트 선수들을 위한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창설 | 1959년 |
주기 | 4년 |
웹사이트 | en.olympic.cn/games/national |
조직 | |
주최 | 중국 |
협회 | 국가체육총국 |
역사 | |
첫 대회 | 1959년 |
기타 | |
관련 대회 | 전국생활체육대축전 |
2. 역사
1959년 베이징 노동자 체육관에서 '스포츠를 발전시키고 인민의 체력을 향상시킨다'는 구호와 함께 제1회 전국운동회가 개최되었다.[15] 1984년 하계 올림픽 참가 이후, 전국운동회는 올림픽 선수 선발과 훈련에 중요한 기회가 되었으며, 대회 종목도 올림픽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었다. 제7회 전국운동회부터 하계 올림픽이 끝난 후 1년 뒤에 개최되며, '전국운동회 인재 배출, 아시안 게임 인재 양성, 올림픽 결과'를 목표로 한다.
1994년 국가체육위원회는 각 성, 시, 구의 참여 열기를 높이기 위해 올림픽 메달을 전국운동회 성적에 반영하는 조치를 발표했다.[5] 이는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은 다음 전국운동회 성적에 포함된다는 의미이다. 제13회 전국운동회부터는 '전 국민 건강' 슬로건에 따라 비전문 선수도 참여하는 대중적인 종목이 추가되었고, 메달 순위는 발표하지 않고 성적 순위만 발표한다.[5]
1958년 6월 21일,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가 개최되어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 경기 제도 (수정 초안)"가 공포되었다.[14] 이 안에서 전국운동회는 "여러 종목을 포함한 대규모 운동회", "4년에 한 번 개최", "자치구, 중앙직할시, 인민해방군을 참가 단위로 할 것" 등이 규정되었다.[15]
2. 1. 청나라 말기 및 중화민국 시대 (전사)
청나라 말기인 1910년, 난징에서 열린 남양권업박람회 부대행사로 기독교 청년회(YMCA) 주도로 "전국 학교 구분대 제1차 체육 동맹회"가 개최되었다.[9] 이 대회는 고등 구분, 중등 구분, 학교 연합의 3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40명이 참가하여 육상 경기, 축구, 테니스, 농구 종목에서 경기를 치렀다.[9] 이후 성립된 중화민국은 이 대회를 제1회 전국운동회로 추인하였다.[9]중화민국 시대에 들어 전국운동회라는 명칭이 확정되었으나,[5] 정세 불안과 전쟁으로 인해 37년간 6회 개최에 그쳤다.[10] 제2회 대회(1914년)에서는 배구와 야구가, 제3회 대회(1924년)에서는 수영이, 제5회 대회(1931년)에서는 무술과 소프트볼이 추가되었다.[11] 1932년에는 국민체육실시법안이 채택되어 개최 간격이 2년에 1회로 변경되었고,[12] 제7회 대회(1937년)에서는 경기 종목이 대폭 추가되고 참가 인원도 3,000명이 넘는 대규모 대회로 성장했다.[13]
2. 2. 중화인민공화국 시대
1959년 베이징 노동자 체육관에서 '스포츠를 발전시키고 인민의 체력을 향상시킨다'는 구호와 함께 제1회 전국운동회가 개최되었다.[15] 1984년 하계 올림픽 참가 이후, 전국운동회는 올림픽 선수 선발과 훈련에 중요한 기회가 되었으며, 대회 종목도 올림픽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었다.[5] 제7회 전국운동회부터 하계 올림픽이 끝난 후 1년 뒤에 개최되며, '전국운동회 인재 배출, 아시안게임 인재 양성, 올림픽 결과'를 목표로 한다.1994년 국가체육위원회는 각 성, 시, 구의 참여 열기를 높이기 위해 올림픽 메달을 전국운동회 성적에 반영하는 조치를 발표했다.[5] 즉,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획득한 메달은 다음 전국운동회 성적에 포함된다.
제13회 전국운동회부터는 '전 국민 건강' 슬로건에 따라 비전문 선수도 참여하는 대중적인 종목이 추가되었고, 메달 순위는 발표하지 않고 성적 순위만 발표한다.[5]
3. 대회 종목
전국운동회에서는 다양한 종목의 경기가 진행된다. 하계 종목으로는 수영, 양궁, 육상, 배드민턴, 농구, 권투, 카누, 사이클, 승마, 펜싱, 골프, 체조(기계체조, 리듬 체조, 트램펄린 경기 포함), 필드 하키, 유도, 근대5종, 조정, 럭비 유니언, 세일링, 사격, 탁구, 태권도, 테니스, 배구(비치 발리볼 포함), 트라이애슬론, 레슬링, 역도, 야구, 소프트볼, 가라테, 스케이트보드, 클라이밍, 서핑, 우슈 등이 있다.
2013년 제12회 대회에서는 일부 동계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은 제외되었다.
3. 1. 하계 종목
- 수영
- 양궁
- 육상
- 배드민턴
- 농구
- 권투
- 카누
- 사이클
- 승마
- 펜싱
- 골프
- 체조 (기계체조, 리듬 체조, 트램펄린 경기 포함)
- 필드 하키
- 유도
- 근대5종
- 조정
- 럭비 유니언
- 세일링
- 사격
- 탁구
- 태권도
- 테니스
- 배구 (비치 발리볼 포함)
- 트라이애슬론
- 레슬링
- 역도
- 야구
- 소프트볼
- 가라테
- 스케이트보드
- 클라이밍
- 서핑
- 우슈
3. 2. 동계 종목 (일부 대회 제외)
- 스피드 스케이팅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피겨 스케이팅
- 프리스타일 스키
4. 개최지
1회부터 4회 대회까지는 베이징에서만 열렸으며, 이후 9회 대회까지는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에서 번갈아 개최되었다.[18]
2000년 12월, 중국 국무원 판공청은 전국 운동회를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3개 지역에서 번갈아 개최하는 제한을 철폐하고, 자격을 갖춘 성, 자치구, 직할시가 전국 운동회 개최를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8] 국가체육총국은 일반적으로 운동회 개최 6년 전에 유치 업무 통지를 발행하며, 각 지역은 성, 자치구, 직할시 인민정부의 이름으로 신청해야 한다.[18]
유치 후보지가 한 곳이고 지원 조건을 충족하면 해당 지역이 자동으로 개최지로 확정된다.[18] 유치 후보지가 두 곳 이상일 경우, 국가체육총국은 특별 회의를 개최하여 후보지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고, 국가체육총국의 지도자, 기관의 관련 기능 부서 대표, 관련 스포츠 관리 센터 대표 및 전국 운동회의 각 참가 단체 대표가 무기명 투표를 실시하여 다득표지를 개최지로 선정한다.[18] 2005년 장쑤성에서 열린 제10회 전국운동회는 이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대회였다.[18]
4. 1. 역대 개최지
회차 | 연도 | 개최 기간 | 개최지 | 참가 단체 수 | 참가 선수 | 비고 |
---|---|---|---|---|---|---|
1회 | 1959년 | 9월 13일 ~ 10월 3일 | 베이징시 | 29 | 10,658명 | 주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체육장 |
2회 | 1965년 | 9월 11일 ~ 9월 28일 | 베이징시 | 30 | 5,922명 | 주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체육장 |
3회 | 1975년 | 9월 12일 ~ 9월 28일 | 베이징시 | 31 | 12,497명 | 주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체육장 |
4회 | 1979년 | 9월 15일 ~ 9월 30일 | 베이징시 | 31 | 15,189명 | 주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체육장 |
5회 | 1983년 | 9월 18일 ~ 10월 1일 | 상하이시 | 31 | 8,943명 | 주 경기장 강만 체육 중심 |
6회 | 1987년 | 11월 20일 ~ 12월 5일 | 광둥성 | 36 | 12,400명 | 주 경기장 톈허 체육 중심 체육장 |
7회 | 1993년 | 9월 4일 ~ 9월 15일 | 베이징시 | 45 | 4,228명 | 주 경기장 베이징 노동자 체육장, 그 외 쓰촨성, 친황다오시의 3개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 |
8회 | 1997년 | 10월 12일 ~ 10월 24일 | 상하이시 | 46 | 7,647명 | 주 경기장 상하이 체육장 |
9회 | 2001년 | 11월 11일 ~ 11월 25일 | 광둥성 | 45 | 8,608명 | 주 경기장 광둥 올림픽 체육 중심 |
10회 | 2005년 | 10월 12일 ~ 10월 23일 | 장쑤성 | 46 | 9,986명 | 주 경기장 난징 올림픽 체육 중심 |
11회 | 2009년 | 10월 16일 ~ 10월 28일 | 산둥성 | 46 | 10,900명 | 주 경기장 지난 올림픽 체육 중심 |
12회 | 2013년 | 8월 31일 ~ 9월 12일 | 랴오닝성 | 38 | 9,770명 | 주 경기장 선양 올림픽 체육 중심 |
13회 | 2017년 | 8월 27일 ~ 9월 8일 | 톈진시 | 38 | 8,500명[18] | 주 경기장 톈진 올림픽 체육 중심 체육장 |
14회 | 2021년 | 9월 15일 ~ 9월 27일 | 산시성 (시안시) | 37 | 약 12,000명 | 주 경기장 시안 올림픽 스포츠 센터 |
15회 | 2025년 | 미정 | 광둥성, 粤港澳大湾区|웨강아오 대만구중국어 | 미정 | 미정 | 주 경기장 카이탁 스포츠 파크 |
4. 2. 개최지 선정 방식
초기 전국운동회는 모두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다.[18] 1회부터 4회 대회까지는 베이징에서만 열렸으며, 이후 9회 대회까지는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에서 번갈아 개최되었다.[18]2000년 12월, 중국 국무원 판공청은 이러한 제한을 철폐하고 자격을 갖춘 성, 자치구, 직할시가 전국 운동회 개최를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8] 이에 따라 국가체육총국은 일반적으로 운동회 개최 6년 전에 유치 업무 통지를 발행한다.[18] 각 지역은 성, 자치구, 직할시 인민정부의 이름으로 신청해야 한다.[18]
유치 후보지가 한 곳이고 지원 조건을 충족하면 해당 지역이 자동으로 개최지로 확정된다.[18] 만약 유치 후보지가 두 곳 이상일 경우, 국가체육총국은 특별 회의를 개최하여 후보지들의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18] 이후 국가 체육총국의 지도자, 기관의 관련 기능 부서 대표, 관련 스포츠 관리 센터 대표 및 전국 운동회의 각 참가 단체 대표가 무기명 투표를 실시하여 다득표지를 개최지로 선정한다.[18] 2005년 장쑤성에서 열린 제10회 전국운동회는 이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대회였다.[18]
5. 성과 및 평가
사사지마 고스케는 20세기 초 스포츠 후진국이었던 중국이 일부 종목에서 국제 대회에서 성과를 내기 시작한 요인 중 하나로 본 대회가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16] 구체적인 공적으로는 경기 인구 증가나 기록 향상 외에도, 다양한 종목에서 단기간에 대량의 중국인 경기 임원 양성, 개최지 순환에 따른 국내 체육 시설 확충 등이 거론된다.[17] 그러나 전국운동회는 지나친 경쟁을 유발하고 지역 간 과열 경쟁을 일으켜 승리 지상주의를 부추기며 스포츠 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5. 1. 긍정적 측면
사사지마 고스케는 20세기 초 스포츠 후진국이었던 중국이 일부 종목에서 국제 대회에서 성과를 내기 시작한 요인 중 하나로 본 대회가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16] 구체적인 공적으로는 경기 인구 증가나 기록 향상과 같은 직접적인 것 외에도, 다양한 종목에서 단기간에 대량의 중국인 경기 임원 양성, 개최지를 순환시킨 것에 따른 국내 체육 시설 확충 등이 거론된다.[17]5. 2. 비판 및 논란
전국운동회는 지나친 경쟁을 유발하고 지역 간 과열 경쟁을 일으켜 승리 지상주의를 부추기며 스포츠 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일부 인기 종목에만 투자가 편중되고 비인기 종목은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는 한국의 전국체육대회와 유사한 문제점으로, 한국에서도 비슷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6.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전국 규모 종합 스포츠 대회의 운영 방식과 효과를 분석하여 한국 스포츠 정책 및 엘리트 체육 시스템 개선에 참고할 만한 사항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전국체육대회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발전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스포츠 굴기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國第十四屆全國運動會香港特區代表團
https://www.lcsd.gov[...]
2024-09-21
[2]
웹사이트
大运会、亚运会、全运会 你都分得清吗?|大运会小科普 - 封面新闻
https://www.thecover[...]
2024-09-21
[3]
웹사이트
9月13日:第一届全运会在北京开幕
https://www.gov.cn/l[...]
2024-09-21
[4]
웹사이트
中国、観客入れて大規模「運動会」選手1万人超で冬季五輪テストか
https://www.asahi.co[...]
2022-06-17
[5]
서적
[6]
서적
[7]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第14回全国運動会
http://www.peoplechi[...]
2022-06-17
[8]
뉴스
私欲と違反はびこる「中国の五輪」
https://www.afpbb.co[...]
2013-09-12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뉴스
天津:第十三届全国运动会27日晚开幕
http://news.cctv.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